순운전자본이란 유동자산에서 유동부채를 차감한 돈이며 영업활동에 필요한 자본(자금)을 말합니다.
순운전자본을 구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1)유동자산 – 유동부채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유동자산은 1년안에 현금으로 바꿀수 있는 돈이고, 유동부채는 1년안에 갚아야 할 돈입니다.)
(2)매출채권+재고자산-매입채무으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순운전자본 (2)번 공식은 매출채권+재고자산-매입채무라고 했습니다.
우선 매출채권, 재고자산, 매입채무가 무엇인지 알아두어야 오늘 필요한 내용을 배울 수 있습니다.
매출채권은 기업이 물건을 팔고 받을 돈(아직 받지 못한 돈이기에 현금이라 할 수 없으며, 돈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재고자산은 판매를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아직 현금이 아닌 상태)
매입채무는 기업이 지급해야 할 돈(다른 기업에게 주어야 할 돈이므로 지출입니다.)
이렇게 매출채권, 재고자산, 매입채무는 실질적으로 보이는 현금이라고 할 수 없기에 그 액수가 커질수록 기업의 재정에 부담이 되는 것입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물건이 잘 팔리고, 매출이 많아져 돈이 많이 생기는 게 가장 좋습니다.
그런데 매출채권 같이 외상으로 제품을 팔았는데 돈을 못 받거나 재고자산이 많이 쌓이면 정말 곤란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불상사를 피하기 위해서 순운전자본으로 기업의 단기적인 영업자금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순운전자본이 적으면 일상적인 자금이 적다라는 말입니다.
반대로 순운전자본이 크다면 그 만큼 자금이묶여서 기업의 발전에 차질이 생기는 것입니다.
좀 더 확실한 운전자본의 값을 구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공식을 사용해보시기를 바랍니다.
기업활동에 필요한 현금,매출채권, 재고자산 외 기타 영업관련 항목의 합 – 비이자부 유동부채(매입채무, 미지급비용외 기타 영업관련 항목의 합)
마무리를 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다시 한 번 복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번 공식을 기억하시나요?
운전자본의 공식으로는 [유동자산 – 유동부채]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유동자산(1년 안에 바꿀수 있는 현금)과 유동부채(1년안에 갚아야 할 부채)를 계산한 것입니다.
즉, 순운전자본은 기업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돈인데 그 값이 크면 그만큼 회사의 돈이 많이 묶여서 단기적으로 사용 할 돈이 부족하니, 재무건전성이 좋지 못하다는 말입니다.
[유동자산-유동부채]을 통해서 기업이 단기적으로 부채를 갚기 위한 여력이 얼마큼 되는 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가 총액에 비하여 순운전자본의 2/3이하로 거래되는 주식은 투자해야한다고 벤저민 그레이엄은 말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주식의 유동성이 좋기 때문에 2/3이하로 거래되는 기업은 없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순운전자본이 낮으면 좋은 이유에 대해서 좀 더 살펴보자면 순운전자본은 유동자산-유동부채라고 하였습니다.
보통 자산이 크면 클수록 좋습니다.
부채보다 자산이 크다면 기업이 가지고 있는 돈이 많다는 뜻이며 미래의 투자성도 커질 것이고, 주주에게 돌아가는 배당금의 여부도 커지게 됩니다.
하지만 유동자산에 기재된 항목중에는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이 있습니다.
유동자산의 가치 대부분이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으로 이루어져있고 경제가 좋지 않아 해당 산업이 부진할 전망이 보인다면 물건을 열심히 팔아도 돈을 못 받을 수있고 물건을 팔지 못해서 재고자산이 산처럼 쌓일 수도 있습니다.
이 상태가 지속된다면 매출채권은 대손충당금(손실금)되고 기업은 단기적으로 돈을 사용 할 수없는 상황에 이르게 됩니다.
회사 입장에서는 곤란한 상황에 놓이게 되는 것입니다.
재고자산도 마찬가지로 가치가 떨어지기전에 판매를 못한다면 문제입니다.
팔지 못하는 재고자산들을 손실처리해야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자산은 높으면 좋지만 순운전자본에서 재고자산과 매출채권이 상당히 높은 상태라면 오히려 순운전자본이 낮은 것이 기업에 더욱 이득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각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과 회사가 위기를 견딜만한 능력이 있는지를 보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금융·경제 > 주식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S, PSR의 뜻과 개념 (0) | 2023.08.26 |
---|---|
베타계수(beta coefficient)란? (0) | 2023.08.25 |
모멘텀(Momentum)과 펀더멘탈(Fundamenta)이란? (0) | 2023.08.25 |
코스톨라니 달걀이론을 통해 살펴보는 주식 매수, 매도 타이밍 (0) | 2023.08.25 |
CPS(주당현금흐름), PCR(주가현금흐름비율)이란? (0) | 2023.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