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산업(基幹産業 , key industry)은 한 나라 경제의 토대가 되는 산업을 뜻합니다.
경제활동을 원활히 하는데 필수적인 산업 또는 기초산업이라고도 부르며,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로부터의 특수품 수입의 두절로 영국이 곤경에 처했을 때, 경제의 한 나라 경제의 사활(死活)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흔히, 강·목재·금속 등 다른 산업의 원자재로서 널리 사용되는 물자를 생산하는 산업이나 석탄·석유·전력 등 경제활동에 불가결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산업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자동차 공업이나 조선공업 등 노동자 고용이 많고 다수의 부품 제조업자에 대한 생산 파급효과가 큰 산업이나 철도·해운 등 주요 운수산업도 기간산업에 포함합니다.
즉, 철강, 동 등의 금속공업, 석탄, 석유, 전력 등의 동력산업, 공작기계, 조선, 차량 등의 중요 기계산업, 비료, 소다 등의 중요 화학산업, 광산업, 원료, 생산설비 및 교통기관 산업 등 생산부문의 중추부문을 일컫습니다.
기간산업은 일반 제조업의 기초가 되며 공업화의 촉매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국가의 산업 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큽니다.
따라서 기간산업은 어떤 나라에 있어서 독점자본의 지배대상이 되어 있고, 군수산업의 기간부문이 되기도 합니다.
만약 기간산업이 미약하여 국제 경쟁력이 약하거나 이미 성숙단계에 도달하여 후발국의 견제 대상이 될 경우에는 자국의 안정된 경제 발전을 위해 기간산업을 국가가 정책적으로 보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는 과거에 농업 위주의 산업구조였기에 근대적인 의미의 기간산업은 1876년 개항 이후 서서히 발전해 왔으며 그 뒤로 전기·철도·중화학공업 등의 기간산업이 건설되었지만, 대체로 일본을 비롯한 외국 세력의 이권에 따라 운영되어 왔습니다.
8·15광복 당시 기간산업시설의 대부분이 북한에 있었으며, 더욱이 6·25전쟁으로 인하여 남한에 있던 주요 산업시설이 많은 피해를 입게 되어 1950년대 우리나라의 산업기반은 매우 취약한 상태에 놓여 있었습니다.
1950년대 후반에 경제부흥을 위하여 에너지산업을 비롯하여 도로·철도 등의 사회 간접자본과 화학·비료·시멘트 등의 일부 기간산업을 개발했지만 근 부흥은 이루지 못했고 1960년대 초반을 전환점으로 신규 기간산업의 건설과 기존 시설의 확충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습니다.
이후 시멘트산업, 금속소재, 정유, 운송차량공업, 기계공업, 화학공업, 조선공업, 철강공업, 자동차공업, 중화학공업, 원자력발전 순으로 경제개발과 공업화를 추진하면서 효율적인 경제활동을 이뤄냈습니다.
'금융·경제 >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리거(Trigger) (0) | 2023.09.01 |
---|---|
72의 법칙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9.01 |
님비현상과 핌피현상의 뜻 (0) | 2023.08.30 |
묵시적 담합이란? (0) | 2023.08.30 |
엔 캐리트레이드의 뜻 (0) | 202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