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은 대출받는 사람의 총 금융부채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쉽게 대출을 받는 사람의 현재 소득 기준으로 원리금 상환 능력을 판단하는 것입니다.
즉, 니가 돈을 갚을 수 있냐, 없냐를 스캔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총부채상환비율(DTI)은 소득 대비 주택 담보대출 원리금에 신용대출 등 다른 대출의 이자를 더한 금융부채로 대출한도를 계산하는 반면 DSR은 주택 담보대출의 원리금뿐만 아니라 신용대출, 자동차 할부, 학자금 대출, 카드론 등 모든 대출의 원금과 이자를 모두 더한 원리금 상환액으로 대출 상환 능력을 심사하기 때문에 더 엄격한 것이 특징입니다.
DSR은 인터넷에 있는 부동산 계산기를 통해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현 정부에서 DSR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부동산 투기꾼들의 무분별한 투기와 가계소득 대비 지출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입니다.
정부는 가계의 부채가 증가하면 생활이 어려워질 것이고 정작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조건이 까다로워져 대출을 받기 힘들 수 있으니 규제를 가한 것입니다.
예를 들면, DSR을 도입하면 연 소득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금융부채가 커지기 때문에 대출 한도가 대폭 축소됩니다. 이 DSR은 DTI 규제가 없는 수도권 이외 지역에도 적용됩니다.
한편, 윤 당선인은 후보 시절부터 문재인 정부의 강도 높은 대출 규제를 비판해왔습니다.
윤 당선인은 “대출 규제는 주택 실수요자들의 자금줄이 막히고 ‘현금 부자’들만 부동산 쇼핑을 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면서 “책임은 정부에 있는데 뒷감당은 서민에게 떠넘기고 있다"라고 꼬집었으며 현 정부는 집값 상승을 막기 위해 LTV · DSR 등을 강화했을 뿐 아니라 법적 근거조차 없는 가계대출 총량 규제 등을 시행해왔다는 지적을 했습니다.
대통령인수위원회는 그동안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으로 시행됐던 대출 총량규제를 폐지하고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을 완화하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잡으면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도 조정될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금융권에서는 지난해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으로 DSR 규제가 앞당겨 시행되고 있는 만큼 오는 7월 시행될 3단계가 미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으며 또 무주택자나 신혼부부 등 일부 계층에 대한 DSR 적용 예외 방안이 마련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환 능력을 토대로 대출을 내주는 DSR 규제를 완화하면 가계부채 급증, 잠재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며 가계대출 확대로 인한 금융 불균형 위험도 하나의 변수입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금융 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를 제약하는 DSR 임계 수준(어떤 수준을 지나면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그 경계)은 45.9%입니다.
지난해 3월 말 평균 DSR은 36.1%이지만 20~30대 청년층의 11.3%가 임계치를 넘은 만큼 DSR 완화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금융권에서는 주택담보대출의 만기를 40년 이상 초장기로 늘려 DSR 기준에 충족할 수 있도록 월 상환액을 낮추거나 청년층의 미래 소득 반영 비중을 높이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금융·경제 >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0) | 2023.08.30 |
---|---|
도대체 전용면적 공용면적 공급면적은 무엇일까? (0) | 2023.08.30 |
LTV 주택담보대출비율 뜻 (0) | 2023.08.30 |
용적률과 건폐율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3.08.30 |
방카슈랑스의 뜻과 용어 정리 (0) | 202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