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슈·시사

네이버가 열심히 키워온 '라인'을 탐내는 일본정부

대주주 산타 2024. 4. 26. 10:24
반응형

 

한국의 국민메신저가 '카카오톡'이라면, 일본의 국민 메신저는 '라인'입니다.

 

라인은 일본 이외에도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메신저입니다.

 

오죽하면 대만에서는 일본보다 라인 점유율이 높아서 라인 없이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지경이며, 태국에서는 아예 통신사가 '라인이 되는 것'을 스마트폰의 기능으로 내세우는 광고를 제작하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라인'은 아시아권에서 엄청난 성공을 거둔 플랫폼 입니다.

 

 

 

그런데 최근 '라인'을 두고 일본 정부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습니다.

 

일본에서 '라인'은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지분을 50%씩 나눠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지난해 11월 라인의 고객 정보를 관리하는 네이버의 클라우드(가상 서버)가 해킹을 당한적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빌미로 일본 정부는 “한국 기업이 경영권을 행사하기 때문에 해킹에 대한 대처가 미흡하다”는 이유로 라인야후에서 네이버 측 지분 정리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분이 50:50이기에 소프트뱅크에 조금이라도 지분이 넘어간다면 라인야후의 주도권을 소프트뱅크가 가지게 됩니다.

 

보통 해킹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정부가 보완 조치를 요구하고 벌금 등 페널티를 부과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가 특정 기업의 지분 정리를 요구하는 것은 이전에 사례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극히 드문 일입니다.

 

 

 

이를 두고 일본 정부가 자국의 대표 플랫폼을 한국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상황을 뒤바꾸겠다는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라인은 현재 월간활성사용자(MAU)가 9600만명에 이르는데, 일본인구가 약 1억2200만명에 달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갓난애들 또는 고령층의 연령을 빼면 모두 라인 이용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일본 자국민들의 의존도가 높기에 한국 기업인 네이버가 경영권에 참여한다는 것은 일본 정부의 입장에선 속이 쓰릴 수도 있습니다.

 

이에 라인의 경영권을 가져오기 위해 일본이 주식 협상을 통해 압박을 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네이버 측은 “지금으로서는 아직 정해진 것이 없어 공식 입장을 내기는 이르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밝히며 서비스 보안 강화부터 지분 관계 재검토 등 다양한 대응책을 두고 고심하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에서 계속해서 압박을 가한다면 네이버 측에서도 이를 무시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분을 매각하거나, 버티는 방법밖에 없는데... 만약 지분 매각에 응하지 않는다면 통상 문제로 가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과학기술정통부와 외교부, 산업자원부 등 정부 차원에서 공동 대응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IT업계에선 자국 회사와 합작하는 우방국 기업에 지분 매각 등을 압박하는 것이 가당키나 한가를 두고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양국의 경제 교류뿐 아니라 외교 관계 개선에도 문제가 생길 것이며, 지분이 매각된다면 이는 “외국 플랫폼 기업 퇴출은 사실상 해당 국가를 신뢰하지 못한다는 것과 같은 메시지”이기에 일본과 국내 기업들의 마찰이 잦아질 수도 있다는 예상이 나오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