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슈·시사

연체의 늪에 빠져 부실 논란에 빠진 지방은행들

대주주 산타 2024. 7. 10. 11:40
반응형

 

지역경제를 책임지고 있는 지방은행들이 부실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바로 '연체' 때문이죠.

 

고금리로 인해 지방의 방 자영업자와 건설·제조·유통기업이 부채를 갚지 못함에 따라 줄폐업이 발생하고 있는데, 지방 경기가 급속화로 얼어붙으면서 은행에도 영향이 발생하고 있는 것입니다. 

 

대출 상환 유예를 통해 일시적으로 지역 경제에 산소호흡기를 달았지만, 근본적인 해결법은 아니기에 대책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에 따른 후유증이 부동산 시장을 잠식하고 있기에 우려는 더욱 확대되고 있습니다. 

 

금감원에 따르면 부산·대구·경남·광주·전북·제주 등 지방은행 6곳의 올해 1분기 연체 대출액은 1조377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세계경제위기가 발생했던 2008년 이후 최대치입니다. 

 

코로나19가 발생했던 2020년 1분기(9855억원)보다 심각한 상황입니다.

 

당장 지방은행 6곳의 개인사업자 대출 평균 연체율은 0.86%로 금융위기 때인 2008년 4분기(0.84%)를 웃돌았습니다.

 

가계 대출 연체율도 역대 가장 높은 수준(1.01%)입니다.

 

이렇게 연체율이 높은 상황에서 고금리 기조가 꺾이지 않자, 자영업자들과 중소기업들은 한계에 이른 상황입니다. 

 

또 이들이 대출 이자를 제때 갚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유동성 부족으로 지방은행들마저 함께 흔들리고 있습니다.

 

특히 강원, 제주,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치솟으면서 지방은행의 건전성 관리에 비상등이 켜진 상황입니다.

 

기업은행에 따르면 전체 중소기업 대출 가운데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규모는 3조4391억원(1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라고 합니다.

 

작년 말 대비 한 분기 만에 부실채권이 2500억원이나 늘었는데, 지방은행들의 중소기업 연체 대출 잔액 역시 2년 새 3345억원에서 8719억원으로 161% 폭증한 상황입니다.

 

 

업계에서는 지방은행의 연체율 상승 추세가 올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는 자영업자와 중소기업들의 연체율이 계속해서 높아진다는 것이고 지방은행들 역시 부실 논란에 휩싸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방은행들은 일단 살아남기 위해 주담대를 공격적으로 늘려 우량 대출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오죽하면 인터넷은행보다 낮은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걸고 있는 상황입니다.

 

실제로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경남은행이 지난달 취급한 분할상환 방식 주담대(만기 10년 이상)의 평균 금리는 연 3.82%로 집계됐습니다.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국내 5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평균 금리(연 3.91%)를 밑돌고 있습니다.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iM뱅크(옛 대구은행)도 지난달 평균 연 3.94% 금리로 주담대를 내줬습니다.

경남은행과 iM뱅크의 주담대 금리는 인터넷은행 중 주담대 잔액이 가장 많은 카카오뱅크(연 3.97%)보다도 낮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