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경제 247

국가의 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는 창업

창업·벤처 생태계의 확장성은 해당 국가의 미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유니콘, 데카콘, 헥토콘은 창업 생태계에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 미국 벤처캐피탈(VC) 에일린 리(Aileen Lee)가 2013년 최초로 사용한 유니콘기업 개념은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로 10억 달러 이상의 기업가치를 달성한 비상장기업’을 의미합니다. ​ 벤처투자산업과 4차 산업혁명 등의 발달로 최근 미국·중국·영국 등 주요 국가에서 유니콘기업이 꾸준히 탄생하면서 유니콘기업 현황은 창업·벤처 생태계를 나타내는 중요 지표로 인식되었습니다. ​ 국내에서도 그간 창업·벤처 생태계의 성과를 신설법인 수, 창업기업 생존율, 벤처투자금액 등으로만 발표하다가 현 정부 들어 스케일업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미국의 글로벌 정보통신기술..

생산자물가지수 또는 PPI

생산자물가지수(PPI, producer price index) 생산자물가지수는 모든 상품의 가격 변동을 대표하는 지표이며, 도매 혹은 생산자 판매 수준에서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 PPI는 국내에서 생산하여 국내시장에 출하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 요금(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공장도 가격)의 변동을 측정하기 위해 작성합니다. ​ 또한, PPI는 소비자물가지수보다 범위가 넓기 때문에 국가 전체의 물가 추이를 측정하는 데 이용됩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일정 시점의 연평균 물가를 100으로 잡고 가격 변화 추이를 수치로 나타냅니다. ​ 우리나라는 한국은행에서 생산자(도매) 물가, 통계청에서 소비자물가를 매월 발표하고 있습니다. ​ 생산자물가지수는 기업이 다른 기업과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가격..

경기동행지수(CCI)와 경제성장률

경기동행지수(CCI, Coincident Composite Index) 경기동행지수는 경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 즉, 현재의 경기상태와 동향을 파악하고 예측하는 경기종합지수 중 하나입니다. ​ 경기종합지수는 다양한 경제지표들의 전월 또는 전년 같은 기간대비 증감률을 합성하여 작성되는데, 여기서 구성되는 지표로는 산업생산지수, 제조업가동률지수, 생산자출하지수, 도소매판매액지수, 비내구소비재 출하지수, 수입액, 시멘트소비량, 노동투입량, 전력사용량, 수출액 등 10개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동행지수를 가지고 경기국면을 판단할 때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를 사용합니다. ​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동행지수 변동요인 중 추세적 요인을 제거하고 만든 것으로 천재지변과 계절적 문제 같은 불..

슈바베 지수에 대해 알아봐요.

슈바베 지수 또는 법칙(Schwabe Index, schwabe’s law) 슈바베 지수는 독일 통계학자인 하인리히 슈바베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1868년 베를린에서 가계조사를 진행하던 슈바베는 고소득층에 비해 저소득층일수록 고정 비용인 주거비 비중이 커진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 ※주거비용은 크게 집세, 주택 유비지, 상·하수도비, 관리비, 냉·난방비 같은 주택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되는 소비항목을 말합니다. 슈바베 지수는 소득과 주거비 지출의 관계를 나타낸 법칙으로 엥겔지수와 함께 빈곤의 척도를 가늠하는 지표 중 하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슈바베 지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가계소비지출을 주거비용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면 슈바베 지수 값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 슈바베 지수가 ..

실업이 중요한 이유

실업(失業,unemployment) 실업은 일할 의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가 좋지 못해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실업의 종류 중에는 스스로 일하지 않는 '자발적 실업'과 좋은 직장을 찾기 위해 일시적인 실업상태를 말하는 '마찰적 실업'이 있습니다. 실업이 미치는 영향 실업과 고용은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끼칩니다. ​ 나라의 경기가 좋아서, 경제가 활성화되면 사람들은 소비를 하게 되고 기업들은 수요를 맞추기 위해서 공급량을 늘리게 됩니다. ​ 공급이 증가하면 기업들은 다른 회사보다 물건을 더 팔기 위해서 고용과 생산설비를 늘립니다. ​ 고용이 증가함에 따라 시장경제가 원활해지고 개인의 소득이 증가하면서 국가의 GDP는 상승하게 됩니다. ​ GDP의 성장률이 높아지면 생산, 투자, 소비, ..

델타(Delta)

델타(Delta) 델타는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에 대한 옵션가격의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즉, 기초자산 가격의 $1 변화에 대한 옵션 가격 변화율을 말하며, 기초자산에 대한 옵션 가격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 델타를 구하는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 델타(Δ) = 옵션 가격변화분 / 기초자산 가격변화분 ​ 예를 들어, A기업의 주가가 10,000원이고 델타가 0.5인데, A기업의 주가가 상승하여 11,000원이 되면 A주에 대한 옵션의 가격이 500원으로 상승하게 됩니다. ​ 델타는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으로 인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델타 헤징(delta hedging)이라고 합니다. ​ 델타헤징은 자신이 보유한 포지션의 델타를 영(0)으로 만듦으로써, ..

핵심물가지수와 근원인플레이션

핵심물가지수(Core inflation index) 핵심물가 지수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곡물 이외의 농산물, 석유류(휘발유, 경유, 등유, 프로판가스 및 도시가스)를 제외하고 산출한 물가지수입니다. 보통 근원인플레이션(core inflation)이라고도 부르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핵심물가지수보다는 근원인플레이션이라고 많이 부릅니다. 인플레이션이 전체적인 물가 상승률을 본다면, 근원인플레이션은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통화량 이외의 변수를 최대한 제거함으로써 통화량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 통화정책의 실효성을 높여주기 위해 개발된 지표입니다. 즉, 농산물과 국제원자재가격 변화 등 중앙은행이 통제 불가능한 일시적·단기적인 물가 충격요인을 제외하는 것입니..

머니마켓펀드의 뜻과 개념

MMF(Money Market Funds, 머니 마켓 펀드)는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해 단기 금리의 등락이 펀드 수익률에 신속히 반영될 수 있도록 만든 금융상품입니다. ​ 고객의 돈을 모아 금리가 높은 CP(기업어음), CD(양도성예금증서), 콜 등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해서 벌어들인 수익을 고객에게 되돌려는 실적 배당상품이 바로 MMF입니다. ​ 고수익 상품에 투자를 하기 때문에 다른 금융상품보다 비교적 수익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 과거 MMF가 카드사 채권 및 기업어음(CP) 등을 편입하면서 대규모 환매 사태가 벌어진 이후 회사채와 기업어음(CP)에 투자하지 않고 안정성이 높은 국공채에만 투자하는 MMF가 판매되는 모습도 보였습니다. ​ 국공채에 투자하는 ‘국공채 전용 MMF’는 다른 MMF펀드에 비해..

단타를 뜻하는 스캘핑

스캘핑(Scalping)은 주식 보유 시간을 초 단위부터 길게는 2~3분 단위로 짧게 잡아 하루에 수십 번 또는 수백 번씩 주식 거래를 하며 박리다매식으로 매매차익을 얻는 기법을 말합니다. ​ 일명 ‘초단타’라고 불리며, 새롭게 많은 사람들이 주식투자에 참여하고 요즘같이 초고속 통신망이 일반화된 환경에서 가장 각광받고 있는 기법 중 하나입니다. ​ ‘스캘핑(scalping)’이란 북미 인디언들이 적의 시체에서 머리가죽을 벗겨내 전리품으로 챙겼던 행위를 뜻하며, 사람의 피부 중 가장 얇은 피부층으로 이루어진 곳이 머리가죽인 만큼 ‘박리’ 즉 아주 적은 이윤을 챙긴다는 의미에서 스캘핑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 스캘핑은 데이트레이딩 투자기법 중에서도 가장 속도감 있는 초단기 주식매매기법으로 주식시장의 유동..

홀딩스, 지주회사의 정의

홀딩스(holding company)는 계열사 또는 자회사의 주식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그룹을 관리하고 경영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주회사를 말합니다. ​ 참고로 롯데지주와 AK홀딩스, LG가 대표적인 지주회사입니다. ​ 예를 들어 지주회사인 AK홀딩스는 애경유화, 애경산업, 제주항공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데, 그룹내에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통해 경영과 자금을 관리하므로 지주회사(홀딩스)의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지주회사가 등장한 이유는 1999년에 발생한 IMF 외한위기 이후 순환출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경영과 소유 구조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입니다. ​ 순환출자는 그룹 내에 존재하는 기업들이 돌려가며 자본을 늘리는 것을 뜻합니다. ​ 이렇게 그룹 내의 기업들이 서로 자본을 늘릴 경우, 한 회사가 위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