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경제 247

스무트 홀리 관세법이란

스무트-홀리 관세법(Smoot-Hawley Tariff Act)은 미국이 대공황 직후에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1930년에 제정된 관세법입니다. ​ 미국은 1929년 대공황이 시작되고 공화당 소속 리드 스무트 의원과 윌리스 홀리 의원이 주도한 법안으로 2만 여개 수입품에 평균 59%, 최고 400%에 이르는 관세를 부과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 하지만 이에 자극받은 유럽국가들은 잇달아 수입관세, 환율통제 등의 조치를 취합니다. ​ 1930년 스무트-홀리 관세법이 발효되고, 여러국가들이 자국 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관세를 부과합니다. ​ 이렇게 높아진 관세로 인해 세계경제는 침체의 길로 빠져들게 됩니다. ​ 이후 세계의 각 정부들은 대공황의 실수를 다시 재발하지 않도록 하기위해서 국제무역..

레버리지 효과는 무엇인가

경제와 투자에 관련 된 기사를 보면 많이 등장하는 레버리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레버리지(Leverage)란 지렛대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작은 힘으로도 무거운 물건을 들 수 있다는 것이죠. ​ 기업에 입장에서 보면 빚을 내, 더 많은 수익을 내기위한 투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타인의 자본을 빌려와 자기 자본 이익률을 높이는 것입니다. ​ 이것을 레버리지 효과, 지렛대 효과라고도 합니다. ​ 그럼 레버리지에 대해 간단한 예시를 보고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현재 우리주머니엔 1,000원이 있습니다. ​ 그런데 집앞 골동품가게에서 오래된 우표를 1,000원에 샀습니다. ​ 그리고 그 우표는 얼마 후 가격이 30%올랐습니다. ​ 우리는 다시 그 우표를 팔고, 원금1,000원과 300원의..

합명회사, 합자회사, 유한회사, 주식회사의 차이와 뜻

합명회사란 무한책임사원만으로 구성 된 회사​입니다. ​ ​회사 채권자들에게 직접적으로 무한의 책임을 지는 것이죠. ​ 가족으로 구성된 회사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울 듯 합니다. ​ 매우 친밀한 공동체가 중심이 되는게 특징입니다. ​ 내부적으로 사원 끼리 신뢰관계가 필수적 요소이며, 공동으로 회사를 경영하기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합자회사는 무한책임사원과 유한책임사원으로 구성된 복합적 회사​입니다. ​ 사업의 경영은 무한책임사원이 맡고, 유한책임사원은 자본을 제공합니다. ​ 그리고 사업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분배하지요. ​ 유한책임사원은 돈을 투자하고, 유한의 책임만 지며 회사의 업무집행 또는 대표로서는 참여하지 않습니다. 유한회사는 모두 앞선 두 회사와 다르게 사원 전원이 유한책임사원으로 구성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 반대로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것을 디플레이션(deflation)이라고 합니다. ​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인플레이션과 마찬가지로 다양합니다. ​ 일반적인 예로는 은행의 신용이 너무 낮아졌거나, 사람들이 수요를 하지 않아 경제 전반에 지출이 감소하여 물가가 하락하는 것입니다. ​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하버드의 경제학교수인 그레고리 맨큐는 자신의 저서(맨큐의 경제학)에 이렇게 적어놓았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나쁘다. 그러나 디플레이션은 그보다 더 나쁠 수 있다.” 디플레이션이 왜 인플레이션보다 위험한 것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물가가 계속 하락하면 좋은 일입니다. 물가가 저렴해지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더욱 싸게 물건을 구매할 수가 있기때문입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인플레이션의 뜻과 개념

국가를 막론하고 정부가 가장 심혈을 기울이며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는 것이 바로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3인방입니다. ​ ​ 인플레이션이 왜 위협적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말합니다. ​ 물가가 상승하는 이유는 정말 다양하고 가지각색입니다. ​ 대표적인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 중 하나는 시장에 돈이 너무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즉, 통화량이 증가해 화폐가치 하락해서 모든 상품의 가격이 계속 오르는 것입니다. (※통화량은 돈이라는 의미보다 경제학적인 측면에서는 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화폐[일반현금+금융]라고 할 수 있습니다.) ​ ​ 인플레이션은 크게 몇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 수요견인 인플레이션(demand-pull infla..

유한책임사원과 무한책임사원

유한책임사원과 무한책임사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들어가기 앞서 짧게 ‘사원’이라는 개념부터 알아보겠습니다. ​ ‘사원’이라 하면 ‘회사원’을 떠올리곤 합니다. 하지만 법적인 용어로 ‘구성원‘을 지칭합니다. ​즉, 회사라는 단체에 자본금을 투자한 구성원(투자자)들 이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 ​ 첫 번째로 유한책임사원을 살펴보겠습니다. ​ 유한(有限)은 말 그대로 해석해보면 한계가 있다는 뜻입니다. 즉, 책임에 한계가 있다는 뜻입니다. ​ 회사의 채무에 대해 채권자에게 한도만큼 책임을 지는 사원이라는 뜻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다섯 명의 사람이 1억씩 모아 5억원과 은행에서 5억 대출 받아 10억원에 회사를 차렸습니다. ​ 그런데 1년 뒤 매출이 엉망이고 경영상태도 엉망입니다...

낙수효과와 분수효과

낙수효과(트리클다운: trickle-down)는 대기업 재벌,고소득층이 성장하고 성과가 늘어나면 중장기적으로 중소기업과 소비자에게 혜택이 돌아가 전체적으로 경기가 활성화 된다는 경제이론입니다. ​ ​컵을 피라미드처럼 쌓고 물을 부으면 제일 위에 잔이 다 차면 아래로 흐르는 것을 비유한 이론입니다. ​ ​이 이론은 부자에게는 세금을 감면시키주고, 가난한 사람에게는 복지비를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즉, 부자에게는 더욱 부유하게 가난한 사람에게는 더 가난하게 만드는 것이지요. ​ ​근데 생각해보니, 이론이 매우 이상합니다. ​부자는 더욱 부자가 되고 가난한 사람은 더 가난해진다니 말인지 방구인지.. 모르겠습니다. ​ ​이 이론을 잘 살펴보면 부자들이 돈을 많이 벌게되면 소비를 많이 할 것이고, 투자도 늘어나 일..

여신과 수신 그리고 고정이하여신비율

‘여신’이란 금융기관이 고객에게 돈을 빌려주는 것을 말합니다. 흔히, 돈이 필요하면 은행에서 가서 대출을 받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이어서 여신금리에 대해서 잠시 알아보겠습니다. 여신금리는 쉽게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 적용하는 금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은행에서 대출이자(금리)가 3%라는 말을 자주 접하셨을거라 생각합니다. 이것이 여신금리입니다. ​ ​여신금리가 커진다면 고객 입장에서는 갚아야 할 돈이 많아지기에 좋지 읺습니다. 여신금리는 낮을 수록 좋습니다. 수신이란 금융기관이 고객에게 돈을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우리가 은행에 돈을 예금해서 예치하는 것과 같습니다. ​ ​여신금리와 마찬가지로 수신금리도 있습니다. 수신금리는 우리가 예금, 적금을 할 때 적용되는 금리로 ..

버블 경제

버블이란 비눗방울이라는 의미로 쓰이지만,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버블은 거품경제라고 불립니다. 즉, 경제에 거품이 가득하다는 말이죠. ​ 경제가 과도하게 팽창되어 있거나, 특정 자산이 과도하게 공급된 경우를 말합니다. 또한 투기로 인하여 과잉투자가 되었을 경우 그 값은 더욱 더 상승하게 됩니다. 이렇게 상당히 높은 가격에 유지된 자산을 버블이라고 합니다. ​ 버블은 언제 어디서나 폭락의 위험이 있기에 상당히 위험성이 높습니다. ​ 그럼 버블에 대하여 천천히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튤립버블 ​ 17세기 네덜란드에서 일어난 역사상 최초의 버블이라고 알려진 튤립버블입니다. ​ 터키에 수입된 지 얼마 안 된 원예식물이 네덜란드에서 인기를 끌게 되고, 부자들과 원예애호가들은 튤립을 사들이기 시작하자 튤립은..

G4를 견제하는 동맹, 커피클럽

커피클럽(Coffee Club)은 G4(독일, 인도, 브라질, 일본)의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의 상임이사국 진출, 확대에 반대하는 개발도상국의 모임을 말합니다. ​ 정식 명칭은 Uniting for Consensus(UfC, 합의를 위한 연합)이고 커피 클럽은 별칭으로 커피를 마시며 느긋하게 하는 비공식 모임이라는 뜻입니다. ​ 커피클럽이 결성하게 된 유명한 일화는 1995년 이탈리아 대사를 중심으로 반대파 국가들인 파키스탄, 멕시코, 이집트의 4개 대사들이 최초로 결성했는데, 가장 먼저 나온 얘기가 이탈리아 대사 프란체스코 풀치의 "여러분, 우선 커피부터 한 잔 하시지요."였습니다. ​ 우선, 안보리는 국제연합안전보장이사회(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로 국제평화와 안전 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