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8

잡스처럼 혁신의 아이콘이 되고 싶은 팀 쿡

21세기 혁신의 아이콘이라고 하면 꾸준히 회자되는 인물이 있습니다. 바로 '스티브잡스'입니다. 스티브잡스는 맥(Mac), 매킨토시, 맥OS X, 아이팟, 아이폰을 만들어내며 애플의 성공 신화를 이끌어냈습니다. 그 중에 아이폰은 아직도 애플의 주요 실적을 담당하고 있는 제품입니다. 여기서 재밌는 사실은 애플에 혁신을 선물한 것은 잡스이지만, 지금처럼 애플을 세계적인 기업으로 도약시킨 것은 잡스의 후계자인 '팀 쿡'입니다. 잡스가 세상을 떠난 2011년과 현재의 주가를 비교하면 10배가 넘습니다. 미국 증시가 절대 죽지 않는 대마불사라고 하더라고 냉혹한 자본주의 세상에서 그저 운으로 세계적인 기업이 될 수는 없습니다. 팀 쿡은 애플의 고질적인 재고 문제를 해결하고 흑자로 이끌었으며, 전 세계 사람들에게 아이..

워런버핏도 애플의 주식을 던졌다.

워렌버핏이 이끌고 있는 버크셔 해서웨이는 그동안 꾸준히 애플을 매수하며 비중을 늘려왔습니다. 실제로 버크셔해서웨이는 2016년 애플을 처음 매수한 후, 2019년 애플을 포트폴리오의 비중 30%로 늘렸습니다. 또 작년에는 추가적인 매수로 비중을 46%까지 늘리며, 단일 종목에 집중된 포지션을 취했습니다. 오죽하면 버핏은 2022년 1분기 애플의 주가가 하락했을 때, 애플을 추가로 매수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애플의 무한한 애정을 보이던 이전과는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바로 버핏이 애플의 지분을 매도했기 때문입니다. 버크셔가 매각한 애플 주식은 약 1000만 주인데, 이는 기존에 보유한 지분 6.9%에 1%에 달하는 비중으로 버크셔가 보유한 애플의 지분은 ..

위기의 중국 경제, 본격적인 반등 구간?

최근 중국 증시는 몇 년 동안 약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3년동안 홍콩H지수의 모습을 보면, 중국 경제가 얼마 암울한 지 알 수 있습니다. 중국 항셍 지수 역시 비슷한 양상을 보이며 떨어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중국 증시가 이처럼 약세를 보이고 있는 이유는 부동산 리스크, 저출산, 투자 감소, 저축률 증가, 미중 갈등, 가계 소비 둔화 등의 여파 때문입니다. 그중에서도 불투명한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가계가 소비를 하지 않고, 계속해서 저축을 하면서 경제위기가 더욱 둔화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중국 경제 내에서 돈이 돌지 않는 것인데, 사람으로 비유하자면 심장에서 뿜어져 나온 피들이 원활하게 돌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최근 몇 개월 동안 중국이 디플레이션의 늪에 빠지고 경기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

인도 증시에 상장을 준비하는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 인도법인이 인도에서 기업공개(IPO)를 위한 초기 단계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 25년 동안 인도에서 약 900만대를 판매하며 시장점유율을 늘려왔습니다. 실제로 두 회사의 인도 시장 점유율은 합쳐서 21%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인도시장에서 꽤나 높은 점유율을 보이자, 현대차는 250억∼300억달러(약 33조3천400억∼40조원)의 기업가치를 평가받아, 주식 일부를 상장하여 최소 30억달러(약 4조원)에 달하는 자금을 주식시장에서 조달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현대차는 오는 2032년까지 인도에 약 4조원이 넘는 금액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아마도 IPO에 성공한다면 주식시장에서 조달한 자금을 통해 인도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 성장에 대비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중국을 믿었던 아모레퍼시픽, 어닝쇼크로 화답받았다.

국내 화장품 기업중 TOP of TOP이라고 할 수 있는 아모레퍼시픽의 실적이 공개되었습니다. 현재 중국의 소비가 둔화되고, 일본처럼 잃어버린 30년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는 만큼 아모레의 실적 하락은 불가피해 보였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생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하게 박살났다는 것입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9% 줄어든 9260억원, 영업이익은 63.7% 감소한 20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63% 하락...... 이정도면 개박살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진짜 정신이 아득해질 정도의 하락률이네요. 게다가 앞서 아모레퍼시픽은 '사드보복사태'와 '코로나19'의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중국 시장을 포기하지 않고 투자를 계속 늘려왔습니다. 하지만..

청산 명령을 받은 헝다, 홍콩 ELS까지 충격이 미칠까?

중국 부동산 위기의 중심에 있는 '헝다'가 홍콩법원에게 청산명령을 받았습니다. 앞서 헝다는 대출을 통해 땅을 사고, 그 위에 건물을 지어 비싸게 매각하여 막대한 이득을 챙겼습니다. 그리고 다시 투자를 받아 전기차와 음료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하는 문어발식 사업 확장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빚더미는 점점 커져갔고, 결국 갚을 수 없는 상황에 빠졌습니다. 이에 헝다는 디폴트(역외채권채무불이행)를 시작으로 주택 건설 중단, 프로젝트 폐지, 하도급업체 공사대금 미지급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중국 부동산 위기를 초래했습니다. 참고로 헝다의 총부채는 2조3900억위안(약 443조원·약 3270억달러)으로 천문학적인 금액에 달합니다. 이에 채권자들은 헝다를 청산하여 남은 자금이라도 챙기기 위해 홍..

광기의 중국, 치사율 100% 변이 코로나 만들었다.

중국이 가짜광기와 진짜광기를 넘어선 절대영역의 광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바로 'GX_P2V'라고 불리는 바이러스를 직접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전 세계를 고통과 슬픔으로 밀어 넣었던 코로나19의 치사율 100% 버전입니다. 즉, 걸리면 무조건 죽는다는 겁니다. 중국의 연구진들은 지난 4일 '코로나19 연관 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related Pangolin Coronavirus) 연구 결과를 생물학 논문 공유 사이트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에 게재했습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GX_P2V'라고 불리는 바이러스를 인체와 비슷하게 조작한 실험용 쥐 4마리에 주입했더니, 8일 만에 모든 쥐가 죽었다고 합니다. 또 중국의 연구진은 쥐들의 뇌를 인간의 유사한 유전적 구성..

미국이냐? 중국이냐? 많은 것이 걸려있는 대만 총통 선거

대만은 한국처럼 반도체에 모든 걸 걸었고, 1인당 GDP가 비슷한 국가입니다. 또 우리에게 북한이 있다면 대만은 중국이 있습니다. 게다가 사회주의 친구들이 가까이 올 수 없도록 입구를 지키는 형이 바로 '미국'이라는 점에서 많은 부분이 닮아 있습니다. 이런 대만이 오늘 총통 선거를 치릅니다. 특히 올해는 많은 국가들이 선거를 치르게 되는데, 그 포문을 대만이 가장 처음 열면서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것입니다. 게다가 대만의 총통은 국가의 지도자를 뽑는 것이기에 귀추가 더욱 주목되고 있는데, 중요한 것은 후보자들의 지지 격차가 그렇게 크지 않다는 것입니다.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친미·독립 성향 집권 민주진보당(민진당)의 라이칭더 총통·샤오메이친 부총통 후보는 32%, '전쟁 대 평화'를 내세운 친중 제..

'될 놈은 뭘 해도 된다'더니... 3300억 규모의 금광을 발견한 사우디

사우디아라비아는 1938년 3월 3일 석유를 발견하면서 막대한 부를 쌓아왔습니다. 현재 사우디는 세계에서 2번째로 많은 석유 매장량과 6번째로 거대한 천연가스 매장량을 자랑하면서, 지리학적 개꿀을 빨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사우디가 엄청난 규모의 '금광'을 발견하면서 많은 국가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습니다. 금광의 정확한 위치가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구글링을 해도 잘 안 나오더라고요. 이미지에 표시된 빨간색 부분은 만수라 마사라 금광인데, 저기서 남쪽으로 100㎞ 떨어진 곳에서 새로운 금광이 발견됐다고 합니다. 사우디 국부펀드 공공투자펀드(PIF)의 자회사인 국영광산기업 마덴(Maaden)에 따르면, 이 지역에서 무작위 시추를 실시한 결과 두 곳에서 톤당 10.4그램 및 톤당 20.6그램 규모 고급 금 ..

갈색병의 신화 에스티로더, 주가 19% 하락했다.

화장품이 관심이 없는 남성이라도 한번쯤은 들어봤을만한 갈색병 또는 에스티로더는 여성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기업이며 화장품입니다. 에스티로더는 색조 화장품, 스킨 케어, 향수, 헤어 제품을 제조하는 대표적 글로벌 화장품 회사로 에스티로더 외에도 바비브라운, 아베다, 크리니크, 라메르 등 30여개의 유명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글로벌 기업의 주가가 단 하루 만에 19% 폭락했습니다. 그 이유는 실적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에스티로더의 2024회계연도 1분기(2023년 7~9월)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0% 감소한 35억1800만 달러(약 4조7300억원)를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0% 감소해 31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에스티로더의 매출 대부분은 중국에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