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분석·리포트 411

나스닥 상장과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진행하는 윙입푸드

윙입푸드는 중국식 살라미, 베이컨, 간편식품 등을 만드는 회사입니다. 그리고 만든 제품을 중국 최대 온라인 유통사인 텐마오몰과 징동으로 유통하고 있습니다. 또 자회사로 '광동영업식품' 및 '훠얼궈스영업'도 가지고 있습니다. 윙입푸드는 식품주의 특성상 주가 변동성이 작아서 어지간하면 주가가 움직이지 않기로 유명합니다. 주가가 급등하는 경우는 조류독감, 돼지열병 같은 사태가 발생할 때 뿐입니다. 그런데 어제는 12%급등, 오늘은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주가가 이처럼 강세를 보인 이유는 윙입푸드가 나스닥 상장 결정과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진행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윙입푸드가 내놓은 공시에 따르면 생산설비 확충을 통한 생산효율 극대화, 연구개발 투자, 신규 설비 설치를 통한 신규사업 진출 등을..

업계 1위를 차지하기 위한 CU와 GS25의 싸움

지난해 상반기 전체 편의점 매출은 백화점 매출과 맞먹을 정도로 커졌습니다. 백화점과 편의점 업계의 매출이 비슷했던 이유는 명품의 수요가 급감하면서 백화점 매출이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반면 편의점은 간편식을 포함하여, 위스키, 1인구 가구를 위한 소형화 제품들을 중심으로 MZ세대의 트렌드에 맞춰 공격적인 투자를 강행하면서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중입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편의점 업계가 빠르게 성장하는 만큼, 기업 간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국내 1, 2위를 차지하고 있는 GS리테일의 'GS25'와 BGF리테일의 'CU'가 있습니다. GS25와 CU의 매출을 살펴보면, 두 기업 모두 빠르게 늘어나면서 그 격차는 줄어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GS의 매출은 지난 상반기 3조9585..

'아프리카TV', 네이버의 '치지직'과 대결에서 이길 수 있을까?

트위치가 한국 시장에서 철수하고, 국내 스트리밍 플랫폼인 네이버 '치지직'과 아프리카TV의 본격적인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네이버 치직은 아직 탄생한지 얼마 되지않은 신생 플랫폼이기에 아프리카TV가 절대적으로 우세할 것이는 평가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네이버는 고화질 방송 지원과 유명 트위치 스트리머를 섭외하는 공격적인 전략을 펼치며 세를 키우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지난 3월 1일 아프리카TV를 제치고 당당히 국내 스트리밍 플랫폼 순위 1위를 차지했습니다. 물론 아프리카TV가 다시 우세를 점하기는 했습니다만, 문제는 치지직의 성장 속도가 말도 안되게 빠르게 때문에 아프리카TV는 생각보다 당혹스러운 상황일 것입니다. 게다가 모기업인 네이버가 든든하게 뒤에서 받쳐주고 있기에 치지직이 얼마나 빠르게 성장..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한 징동닷컴

징동닷컴은 전자상거래 기업인데, 쉽게 말해 중국의 쿠팡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징동은 중국 대표적인 기업중 하나인 알리바바그룹과 경쟁관계에 있는 기업입니다. 징동닷컴은 국내 시장에 진출하지 않아서 유명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롤을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E스포츠 팀인 징동게이밍을 들어보셨을겁니다. 징동게이밍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이 바로 징동닷컴입니다. 아무튼 최근 중국은 저축 증가와 가계 소비 감소로 자금 유동성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시장에 돈이 돌지 않으면서 경기가 침체되고 있는 것이죠. 이렇게 소비가 둔화로 중국 경제가 침체되자, 징동닷컴의 실적도 부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대다수였습니다. 그런대도 불구하고 징동은 오히려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우선 2023년 매출액은 431억달러(57조 5,..

MZ세대의 위스키·와인 열풍 끝났나, 위기에 처한 나라셀라

앞서 코로나19가 발생했을때, 하늘길이 막히고 자산 가격(부동산, 주식)이 상승하자 사람들은 억눌려있던 소비욕구를 풀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코로나 때문에 사람들이 밖으로 외출을 할 수 없게 되면서 혼술을 즐기는 문화가 늘어났고, 일반적인 소주와 맥주보다는 와인과 위스키를 선호하는 현상이 짙어지면서 주류시장은 호황을 맞이합니다. 그리고 MZ세대가 주류시장을 이끌기 시작하면서, 주류 트렌드는 MZ세대를 중심으로 바뀌게 됩니다. 하지만 2021년 말부터 본격적인 경기침체를 동반한 물가상승이 시작되면서 와인은 인기는 사그라들기 시작했습니다. 위스키는 역시 인기가 줄어들고 있지만, 그래도 하이볼이 새로운 주류 트렌드로 자리잡으면서 와인보다는 상황이 좋은 편입니다. 하지만 와인은 부진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

호실적을 기록한 타깃 코퍼레이션, 본격적인 반등 시작인가?

나스닥이 -1.65%하락하고 비트코인이 -4.42%하락했지만, 미국의 유통업체인 타깃은 오히려 +12% 급등했습니다. 타깃의 주가가 상승한 이유는 예상보다 좋았던 실적때문입니다. 타깃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 늘어난 319억2000만달러(42조6000억원)입니다. 이는 시장의 전망치 318억3000만달러를 상회한 것입니다. 그리고 주당순이익(EPS)은 2.98달러로 시장의 전망치 2.42달러를 상회하였습니다. 시장의 전망치보다 좋은 실적과 타깃이 새로운 멤버십 프로그램을 출시해 실적을 증진하겠다고 밝히자, 타깃에 대한 낙관론이 퍼지며 주가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사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타깃의 주가는 침울한 상황이었습니다. 월마트, 코스트코 같은 경쟁사들이 고점을 찍고 있..

'PCPOSOS' 연구결과 발표, 주가가 급락하는 초전도체 관련주

세계 최초로 상온, 상업 초전도체 'LK-99'를 개발했다고 주장하는 퀀텀에너지 연구소의 연구진이 미국 학회에서 LK-99 후속 연구결과물인 'PCPOSOS'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PCPOSOS'는 'LK-99'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PCPOO에사 황(S)를 추가한 물질입니다. 앞서 퀀텀에너지 연구소 측은 LK-99가 초전도성이 없을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황을 추가하여 PCPOSOS를 개발한 것입니다. 연구발표에 따르면 PCPOSOS가 마이스너 효과(특정 온도에서 전기 저항이 사라지거나 물질 내부 자기장이 겉으로 밀려나는 반자성질)와 저항이 제로(0)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특정 상황에서는 샘플이 자석 위에서 떠오르는 부분 부상 등 초전도체 특성을 보이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1600..

또 주가가 급락한 테슬라, 갈수록 전망이 어둡다.

테슬라의 주가가 간밤에 또다시 크게 하락했습니다. 올해 들어 테슬라의 주가는 248달러에서 188달러로 약 -24%가량 하락한 상황입니다. 세계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았던 테슬라가 지속적인 약세를 이어가면서 투자자들의 한숨은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 테슬라가 흔들리는 이유는 실적에 대한 이슈와 장기적인 성장에 대해 제동이 걸린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지난 2월 테슬라는 중국 공장에서 6만365대를 출하해 2022년 12월 이후 1년여 만에 가장 낮은 실적을 기록했는데, 이는 직전 달인 1월보다는 16%, 지난해 2월보다는 19% 각각 감소한 수치입니다. 그리고 문제는 주요 수출국인 중국 경제의 부진과 더불어,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공세가 만만치 않다는 것입니다. 테슬라는 판매 부진을..

FDA의 승인을 받은 휴젤의 '레티보'

휴젤은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이라는 미생물을 기반으로, A형 보툴리눔 톡신을 활용한 바이오의약품과 GAG의 일종인 히알루론산으로 조직수복용생체재료 Filler 제품 등을 연구개발 및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휴젤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인 '보툴렉스'(수출명:레티보) 50유닛(용량)과 100유닛(용량)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신약 품목허가 결정을 받았다고 합니다. 휴젤은 지난 2021년부터 시작해 세번의 도전 끝에 FDA 승인이라는 결실을 이뤄냈습니다. 참고로 레티보의 효과는 미간주름 개선효과 입니다. 레티보는 지난 임상3상 미간주름 환자 1200명 이상을 대상으로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방식을 통해 약물의 유효성 및 안전성 등을 평가했습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체 환자의 94..

'빌보드 200' 정상에 올라선 트와이스, 하지만 엔터주의 미래가 너무 어둡다.

트와이스가 지난 2월 23일에 발매한 미니 13집 '위드 유-스(With YOU-th)'가 판매량 9만5000장으로 이번주 '빌보드 200' 1위를 기록했습니다. 빌보드200 차트는 미국에서 한 주 동안 가장 인기 있는 앨범의 순위를 매긴 차트로, 음반 판매량 점수에 스트리밍 횟수를 음반 판매량으로 환산한 'SEA'와 디지털음원 다운로드 횟수를 음반 판매량으로 환산한 'TEA'를 합산합니다. 트와이스가 '빌보드200' 1위를 기록하자, JYP엔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주가는 그저 그런 상황입니다. 장이 열리고 반짝 상승세를 보였지만 현재는 보합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이처럼 JYP엔터의 주가가 쉽사리 반등하지 못하는 이유는 현재 엔터주가 처한 현실 때문으로 보입니다. 이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