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분석·리포트 411

석유화학사업이 중국에게 밀리기 시작한 LG화학, NCC 물적분할 시도할까?

최근 LG화학의 석유화학사업이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해있습니다. 지난해 LG화학은 각종 석유화학 제품을 제조할 때 두루 쓰이는 스티렌모노머(SM) 공장 1개 라인 가동을 중단했습니다. 그런데 이어 이번 달에 또 1개 라인을 추가로 중단하기로 밝혔습니다. 참고로 SM은 합성수지(ABS) 합성고무(SBR) 제조에 쓰이는 필수원료입니다. 문제는 중국 기업들이 막대한 자본을 들여 공장을 증설하자 공급과잉이 발생하여, LG화학이 생산하는 SM이 수지타산이 안 맞는 지경에 이르게 된 것입니다. 오죽하면 직접 생산하는 것보다, 중국에서 사 오는 것이 더 싸게 먹히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게다가 SM뿐만 아니라, 시멘트·세제(EO)와 폴리에스테르 섬유·필름·부동액(EG) 부문 역시 위기입니다. EO와 EG역시 중국의 공급..

진짜 위기에 처한 어도비, 주가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https://spearcastle.tistory.com/691 어도비의 주가를 끌어내리고 있는 오픈AI SORA 요즘 이 영상이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이건 오픈AI가 공개한 동영상을 제작해주는 인공지능 모델 소라(sora)가 만든 영상입니다. 소라의 가장 큰 특징은 이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하 spearcastle.tistory.com 현재 어도비는 오픈AI의 동영상 생성 AI인 '소라(SORA)' 때문에 위기에 처했습니다. 간단한 명령어만으로도 'SORA'가 퀄리티 좋은 동영상을 만들어 주기 때문입니다. 이에 투자자들은 어도비가 '소라'로 인해 편집툴 시장에서 밀려날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우려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어젯밤 뉴욕증시가 개장하고 어도비의 주가는 말 ..

주가가 매일 떨어지는 DB하이텍, 어디까지 떨어질까?

DB그룹의 핵심 기업 중 하나인 DB하이텍은 웨이퍼 수탁 생산 및 판매를 담당하는 파운드리 사업과 디스플레이구동칩(DDI) 및 자사 제품을 설계, 판매하는 브랜드 사업하고 있습니다. 지난 1년 동안 DB하이텍의 주가는 가히 나이아가라 폭포를 연상케 하는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햄스터가 빵조각을 뜯어먹는 것도 아니고, 주가가 어떻게 저렇게 매일 하락할 수 있는지... 참 여러모로 대단한 기업입니다. 저같은 주주들의 입장에서는 발작버튼 그 자체인 것이죠. 본론으로 들어가서, 주가가 하락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일단 현재 반도체 업황 자체가 불황이라는 것입니다. 참고로 DB하이텍은 8인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를 제조하여 고객사에게 납품하고 있습니다. 웨이퍼가 클수록 더 많은 칩을 생산할 수 ..

주식 거래가 정지된 태영건설

지난 몇 달 동안 태영건설은 수많은 구설수에 오르내렸습니다. 앞서 태영건설은 부동산 PF의 여파로 '돈을 빌려준 채권단에게 당장 가지고 있는 현금이 없으니, 빚을 갚을 수 없다. 그러니 채권단 너희가 빚을 좀 탕감해줬으면 좋겠다'라고 당당히 말했습니다. 이에 수도꼭지가 완전히 돌아버린 채권단은 '이게 지금 뭔 소리야?'라는 의문을 품으며 태영그룹과 싸우기 시작했습니다. 정부가 중개를 하기 위해 나섰지만 태영그룹이 계속 자신들에게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자, 곧바로 빠따를 들고 태영그룹을 압박했습니다. 결국 강력한 압박에 버티지 못한 태영그룹은 백기를 들고 항복을 외치고 말았습니다. 결국 태영그룹은 채권단과 원만한 합의를 보기로 했고, 태영건설은 워크아웃 절차를 밟게 되었습니다. 물론 아직까지 태영그룹의 자구..

유상증자를 진행하는 '래몽래인', 이정재 덕분에 이틀 연속 상한가

'재벌집 막내아들'의 제작사로 유명한 래몽래인이 이틀째 상한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래몽래인이 상한가를 기록한 이유는 와이더플래닛이 29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경영권을 인수한다고 밝혔기 때문입니다. 와이더플래닛의 최대주주는 배우 이정재입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이정재는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과 친분이 있다는 소식에 그가 투자한 기업들의 주가가 급등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그게 바로 '와이더플래닛'과 '위지윅스튜디오'가 입니다. 그리고 이번에 래몽래인이 운영자금 290억원을 조달하기 위해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는데, 여기에 와이더플래닛(181만2688주), 배우 이정재(50만3524주)가 참여한다는 소식이 퍼지면서 래몽래인 역시 정치테마주로 엮이면서 주가가 급등하고 있는 것입니다. 한편..

전고체 배터리로 쏠리는 관심, 수혜주는 LG엔솔·삼성SDI·SK온?

오픈AI가의 '챗GPT'가 세계를 강타하면서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AI(인공지능) 관련 수혜주들은 올해 초부터 강한 주가 상승을 경험했습니다. 하지만 엔비디아의 상승세가 꺾이기 시작했고, 유동적으로 움직이는 '주식시장'은 벌써 발 빠르게 다른 곳으로 향해 움직이고 있습니다. 다음 타깃은 '전고체 배터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기존 가연성의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한 전지로 '꿈의 배터리'라고 불립니다. 안정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고출력, 넓은 사용온도, 단순한 전지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최근 전기차에 대한 관심도는 뚝 떨어진 상황입니다. 실제로 완성차 기업들은 전기차에 대한 투자를 줄이고 '하이브리드'의 비..

눈물의여왕, 스튜디오 드래곤을 살려낼 수 있을까?

tvn의 낮은 시청률과 드라마 제작사들의 경쟁, 그리고 미디어업 부진, 광고 위축으로 인한 광고 연동형 실적 악화로 해 '스튜디오드래곤'의 주가는 11만원에서 4만원대로 하락했습니다. 첩첩산중처럼 주가가 떨어지는 가운데, 스튜디오 드래곤이 조금씩 살아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김수현·김지원 주연의 '눈물의 여왕'입니다. 특히 '내조의 여왕', '역전의 여왕'을 만든 박지은 작가의 만든 새로운 '여왕 시리즈'이기에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간단한 내용을 말씀드리자면 퀸즈 그룹의 재벌3세이자 백화점의 여왕 홍해인과 용두리 이장 아들이자 슈퍼마켓 왕자 백현우의 사랑이야기라고 합니다. 그리고 드라마가 방영되자, 시청률은 기분 좋은 신호탄을 쐈습니다. 지난 일요일 시청률은 수도권 가구 평균 9..

주가가 82% 폭락한 아밀릭스 파마슈티컬스

아밀릭스 파마슈티컬스의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 치료제인 렐리브리오가 3상 임상시험에 실패했다고 합니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은 대뇌 및 척수의 운동신경원이 선택적으로 파괴되기 때문에 '운동신경원 질환'이라고 하며, 흔히 루게릭병이라고도 합니다. 중요한 것은 임상시험에서 '렐리브리오'로 치료받은 루게릭병 환자와 위약(대조하기 위한 약)을 투여한 환자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고 합니다. 이에 아밀릭스 파마슈티컬스는 루케릭병 치료제 시장에서 '렐리브리오'를 자발적으로 철수할 수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오면서 주가는 맥을 못추고 급락했습니다. 참고로 렐리브리오의 연간 정가는 158,000달러이며, 지난 2023년 매출이 3억 8100만 달러에 달하기 때문입니다. 근데 임상 3상이라는 것이 정말 극악의 난이도..

주가가 30% 급락한 빅토리아 시크릿

미국의 대표 란제리 브랜드인 빅토리아 시크릿이 실적을 공개했습니다. 분기 매출은 20억8200만달러(2조7700억원)로 시장의 전망치인 20억8600만달러에 부합하였습니다. 그리고 EPS(주당순이익)는 2.58달러(3429원)로 시장 전망치 2.47달러(3282원)보다 4.41% 상회하였습니다. 하지만 나름 괜찮은 실적에도 불구하고 빅토리아 시크릿의 주가는 30%정도 급락하였습니다. 주가가 박살난 이유는 올해 상반기 수요 부진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빅토리아 시크릿이 내놓은 2024년 매출 가이던스는 60억 달러입니다. 하지만 시장의 전망치는 61억 4천만 달러로, 실적이 예상치보다 하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게다가 빅토리아 시크릿의 부채비율은 약 2000% 육박하고 있습니다. 이 ..

주가 급등과 급락을 맛보는 에코앤드림

올해 초부터 에코앤드림의 주가는 강한 상승세를 보였는데, 2만원부터 출발했던 주가는 불과 며칠전 8만9900원까지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고점을 탈환하고선, 바로 하락세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참고로 에코앤드림은 2차전지 소재 가운데 하나인 양극활물질 전구체를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전방사업을 하고 있는 테슬라와 에코프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최근 2차전지 사업이 불황에 가까운 상황입니다. 이 때문에 2차전지 관련주들의 주가는 부진함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방사업이 부진하니, 에코앤드림의 실적도 깎여나가고 있는데... 실제로 지난해 매출액은 515억원, 영업손실은 3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그럼에도 주가가 강세를 보인 이유는 앞서 전북 군산시에 추가로 생산 설비를 갖추고, 이차전지 소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