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20

홍진영 화장품 브랜드, IPO(기업공개)에 나선다

가수 홍진영이 대표로 있는 회사인 아이엠포텐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아이엠포텐은 뷰티 브랜드 '홍샷'과 '시크블랑코'를 보유하고 있는데, 앞서 지난 6월 20일 서울 성동구 본사에서 한국투자증권과 기업공개(IPO)를 위한 주관사 계약을 체결했다고 합니다.  참고로 아이엠포텐은 내년을 목표로 상장을 준비하고 있는 중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기업 규모와 영업손실입니다.  이미지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직원 수는 4명에 불과합니다. 실적의 경우 2023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1183% 상승한 6억688만원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늘어난 매출만큼 광고 비용에 많은 자금을 투입한 것인지 모르겠지만, 영업손실은 같은 기간 두 배 늘어난 7억3798만원을 기록했습니다. 이처럼 기업의 규모와..

신뢰가 무너진 두산그룹, 답이 없다.

앞서 두산은 매출 9조원에 영업이익이 1조가 넘는 두산밥캣과 고작 매출 500억에 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두산로보틱스와 합병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자본시장법에 따르면 비율 산정을 시장가로 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에 시총이 비슷하기에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의 합병 비율을 1 대 0.63에 불과합니다.하지만 어떤 사람이 알짜회사랑 손실이 발생하는 기업을 비슷한 선상에 놓고 기업을 합병시키려고 할까요? 하지만 두산밥캣 이사회는 그 어려운 것을 기어코 해내고 말았습니다.  두산밥캣 주주입장에선 도저히 이해가 안 가는 상황입니다. 이사회라는 놈들이 소액주주들의 신경은 1도 안썼기 때문입니다.게다가 이는 두산밥캣의 입장에서도 큰 메리트가 있어보이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합병은 두산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테슬라는 왜 폭락했을까?

테슬라의 주가가 간밤에 급락했습니다. 주가가 박살난 이유는 시장의 기대치에 못 미치는 부진을 실적을 내놓고, 이어 일론 머스크가 발표한 내용도 실망스러웠기 때문입니다.  실적을 먼저 살펴보면 2분기 매출은 255억 달러(35조3558억원)으로 전년 대비 2% 늘어났습니다.  다만 주당순이익은 0.52달러(약 721원)로 월가의 예상치인 0.62달러를 밑돌았습니다.  그리고 많은 투자자들이 주목한 자동차 매출총이익률은 규제 크레딧을 제외한 수치가 14.6%로 전 분기(16.4%)보다 하락했으며, 월가 예상치(16.3%)에도 못 미쳤습니다.  그리고 앞서 일론 머스크가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자율주행 로보(무인)택시의 공개 시기를 '8월 8일'로 잡았습니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10월 10일'로 연기..

큐텐의 무리한 확장이 티몬·위메프의 위기를 불렀나?

싱가포르 큐텐 계열사인 티몬·위메프에서 정산금 지연 등 유동성 문제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수백억원 규모 정산금이 묶인 간편결제사에게 도미노처럼 리스크가 오고 있다는 것입니다.  협력사들은 피해를 줄이기 위해 티몬캐시, 문화상품권 등 추후 대금 문제 여지가 있는 포인트에 대해 매입을 중단한 상황입니다.  티몬캐시는 티몬이 할인발행하는 일종의 포인트 시스템인데, 티몬은 이달 티몬캐시를 10%대 높은 할인율로 발행하며 상당 규모를 유동화했습니다. 하지만 정산금이 무기한 지연되면서 서비스는 종료되었고, 이러한 후폭풍을 소비자들에게까지 전이되고 있습니다.  티몬캐시처럼 새로운 유동성 문제 뇌관으로 떠오른 것이 바로 문화상품권입니다.  티몬이 연간 수천억원 단위로 판 상품권은 해피머니·컬쳐랜드 등 ..

현대약품의 주가가 급등하는 이유는 카멀라 해리스 덕분?

현대약품이 주가가 어제부터 폭발적으 상승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가가 상승하는 이유는 미국 대선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와 연관이 있습니다.   해리스 부통령은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주장하는 ‘낙태 금지’에 대해 강력히 비판하고 있는 중입니다.  그는 “생식의 자유를 믿는 우리는 도널드 트럼프의 극단적인 낙태 금지를 중단할 것이다”면서 “우리는 여성이 자신의 신체에 대해 결정을 내릴 수 있고 정부가 그들에게 무엇을 하라고 지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의회가 미국 대통령으로서 생식의 자유를 회복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면 나는 그 법안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즉, 트럼프의 의견에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는 것이죠.   해리스는 최근 반트..

비즈니스온을 인수하는 스카이레이크

기업용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선도업체인 비즈니스온이 매각된다고 합니다.  비즈니스온은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서비스를 기반으로 전자계약, 매입통합, 지능형 빅데이터 등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삼고 있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 솔루션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시장의 관심도 큰 기업입니다.  참고로 앞서 지난 2019년 프랙시스캐피탈파트너스는 기존 주주들이 보유한 구주(36.25%)와 200억원 규모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총 950억원에 매입해 경영권을 취득하였습니다.  당시 기업가치는 약 2000억원쯤 됐었습니다.  그리고 투자 5년이 지난 현재 프랙시스캐피탈은 스카이레이크프라이빗에쿼티(PE)에 3800억원에 매각하기로 하였습니다. 이로써 프랙시스캐피탈은 3배에 달하는 차..

주가가 343% 상승한 리젠셀 바이오사이언스 홀딩스

리젠셀 바이오사이언스 홀딩스(RGC)는 신경인지장애와 퇴행, 특히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의 치료를 위한 중국 전통 의학(TCM)의 연구와 개발 및 상업화에 중점을 둔 생명과학 기업입니다.  RGC는 간밤에 장중에 주가가 862.75% 상승하면서 1주당 44,932원을 달성했습니다.  이후,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더니 장 마감 즈음에는 343% 상승한 20,721원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보통 바이오·제약 회사들의 주가가 폭발적으로 상승하는 이유는 개발중인 신약이 임상에 성공하거나, 전임상 연구개발에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을 때가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아무리 정보를 찾아봐도 RGC에 대한 호재가 없었습니다.  나오는 것이라고는 몇 달 전 기사밖에 없었습니다. ..

가게 문에 손 끼인 아이, 부모 "문 잡아줘야지"라며 여성 손님에게 배상 요구

보배드림에 "어린이 손 끼임 사고다. 남자아이 부모는 마지막에 나온 여성분에게 배상을 요청했다"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해당 영상에는 파란색 티셔츠를 입은 아이가 가게 밖을 나가는 모습이 담겨져 있습니다.  이에 아버지로 추정되는 남자가 문을 잡아주고, 뒤이어 단발머리를 한 여성이 밖으로 나가는 모습이 나옵니다.  영상의 문제는 바로 여기서 나옵니다. 여성 손님이 문을 나선 후, 아이가 다시 가게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문을 향해 손을 뻗습니다. 하지만 손가락이 문틈 사이에 끼여 바로 손을 빼냈지만, 괴로워하는 모습이 나옵니다. 그리고 제목처럼 해당 부모는 아이가 문에 손을 끼인 것을 두고 여성 손님에게 배상을 요구했다고 합니다.  이를 본 네티즌들은 부모의 부주의를 지적했습니다.  "자기 애 나왔다고 뒤에..

장현국 부회장 , 위메이드 지분 전량 매도

'위믹스의 아버지'라 불리는 장현국 부회장이 보유 주식을 모두 처분했다고 합니다.  공시에 따르면 장 부회장은 지난 15일(체결일 기준) 주당 4만3775원에 18만382주를 매도 했고 이어 다음날(16일) 주당 4만1432원에 18만2972주를 팔아치웠습니다.  장 부회장이 처분한 지분 규모는 총 총 154억7712만원에 달 합니다.  그리고 장 부회장은 앞서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행사해 현금 97억원(세금 포함)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지난 3일에는 22만3503주와 17만3649주의 스톡옵션을 행사했는데, 행사 가격은 각각 1만5659원과 2만3034원 입니다.  위메이드는 스톡옵션 방식 가운데 차액보상을 선택해 장 부회장에게 주식이 아닌 현금을 지급했습니다.  차액보상은 스톡옵션 행사일의 종..

매년 논란이 되는 숙박앱들의 오버부킹

'여기어때'와 '야놀자'는 국내 숙박플랫폼들 중 단연 톱일 것입니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는 반증이겠죠.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만큼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에게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바로 '오버부킹'입니다. 오버부킹은 숙소, 항공권 등 서비스 제공자가 이익 극대화를 위해 실제 객실·좌석보다 많은 예약을 받은 후 취소해 만실, 만석 등을 채우는 방식으로 흔히 중복예약이라고도 부릅니다.   어지간하면 국내에서 오버부킹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지만, 여름철 성수기만 되면 오버부킹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오버부킹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플랫폼의 기술적 한계 때문이라고 지적되고 있습니다.  우선 플랫폼의 중개 구조는 ‘소비자-플랫폼-숙박 사업자(제휴 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