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20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는 두산...

많은 투자자들이 고대하며 기다리던 올해 최고 IPO 대어인 두산로보틱스에 증시에 입성했습니다. 장 초반에 엄청난 상승세를 보이며 불타올랐던 두산로보틱스는 현재 이전에 비해 조금 떨어진 상황입니다. 두산로보틱스는 상장 전부터 올해 두 번째 ‘조 단위’ 코스피 상장 종목으로 주목받았고, 지난달 11~15일 진행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272대1의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이어 지난달 21일~22일 진행된 일반투자자 대상 청약에는 150만명이 몰리며 증거금 33조원을 모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대감과 달리 최근 로봇관련주가 조정을 받기 시작하면서 두산로보틱스도 조정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입니다. 사실 진짜 문제는 두산로보틱스가 아닌 모회사인 두산입니다. 앞서 두산은 로보틱스가 상장한다는 ..

미국 국채금리 급등에 죽 쑨 K-증시

이번주에 들어서서 세계 증시가 계속 휘청이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연준의 고금리 정책이 기존 예상보다 오래갈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렸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미국 국채 금리는 2007년 이후 1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글로벌 채권 금리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3일(현지시간) 연 4.8%를 넘어섰습니다. 하루 전 같은 시간과 비교하면 13bp(1bp=0.01%포인트)가량 급등한 수치입니다. 같은 시간 3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4.95%로, 5%선 돌파를 눈앞에 두며 2007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고금리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에 채권금리는 계속해서 오르고 있으며, 이 여파는 세계증시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코스닥 같은 경우..

급등하는 코코아 가격, 엘니뇨의 여파?

엘니뇨로 인해 코코아의 가격이 지난 1년 동안 계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엘니뇨는 라니뇨와 다르게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더 높아지는 기상이변 현상입니다. 엘니뇨의 특징은 기온을 높이는 것인데, 이에 카카오콩의 절반 가량을 생산하는 서아프리카 카카오 벨트인 코트디부아르, 가나, 나이지리아 등에 가뭄이 발생하여 피해를 입혔습니다. 그리고 최근 갑작스런 이상기후로 폭우가 쏟아졌고 카카오콩을 부패시키는 흑점병(Blackpod)이 발생해 생산 감소가 우려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수확량이 축소되고 미래의 수확량이 불확실해지자, 일부 국가에선 농산물의 수출을 제한하는 내용의 조치를 취하기도 했습니다. 국제카카오기구(ICCO)에 따르면 카카오콩의 세계 최대 생산국인 코트디부아르의 누적..

IPO를 또다시 준비하는 SSG닷컴

신세계그룹 계열의 이커머스 플랫폼 SSG닷컴이 내년 봄에 기업공개(IPO)를 재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앞서 2021년 쓱닷컴은 쿠팡이 IPO를 공개한 시점에 비슷하게 IPO를 추진하려는 제스처를 취했습니다. 당시 쓱닷컴의 적정가치는 약 3~4조 원에 달할 것으로 평가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증시 상황이 좋지 않으면서 기대하던 몸값을 못 받을 우려에 쓱닷컴은 상장을 보류하였고, 지금까지 IPO에 대해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올해 하반기부터 금리 인상 기조가 멈출 것이라는 전망과 세계경제가 다시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쓱닷컴이 다시 IPO 준비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시장에서는 온라인 시장이 점차 성장함에 따라 SSG닷컴의 기업 가치를 약 10조원대로 추산하고..

약속의 하반기, 반도체 업계 살아날 수 있을까?

지난해부터 이어지던 반도체 불확실성이 점차 해소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오늘(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9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수출은 1년 전보다 4.4% 감소한 546억6000만 달러(약 74조643억원)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지난달 수입은 16.5% 줄어든 509억6000만 달러(약 69조508억원)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 무역수지는 37억 달러(약 5조135억원) 흑자를 기록하며, 4개월 연속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사실 수출의 경우 12개월째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실적은 최근 개선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반도체와 중국 실적 영향이 해소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도체 수출은 지난 1분기 최저치를 기록한 뒤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데, 실제로 지난해 10월..

잘 만들었다고 칭찬받는 p의 거짓, 하지만 네오위즈의 주가는?

네오위즈의 신작인 p의 거짓이 게이머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참고로 P의 거짓은 고전 동화 '피노키오'를 잔혹극으로 각색하여 국내 게임사가 처음 내놓은 '소울라이크' 액션 역할수행게임(RPG)입니다. 앞서 P의 거짓은 지난해 8월 유럽 최대 게임전시회인 '게임스컴 2022'에서 한국 게임사 최초로 3관왕을 수상했으며, 최근 세계 최대 규모 게임 플랫폼 '스팀'에서 '매우 긍정적(Very Positive)'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 출시 첫날 스팀에서 매출 1위를 기록하면서 시장에 안착하기도 했습니다. 간단한 게임 스토리를 설명해 드리자면, 장인 제페토가 만든 인형 'P'는 몰락한 도시 '크라트'의 비밀을 파헤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그려집니다. 그리고 피노키오 원작 동화처럼 P의 거짓을..

화려하게 증시에 데뷔한 밀리의서재

오늘 코스닥 시장에서 따끈따끈한 새내기가 들어왔습니다. 바로 '밀리의서재' 입니다. 밀리의 서재는 전자책을 포함한 도서 IP 기반의 다양한 콘텐츠 정기구독 서비스를 개발, 운영, 판매하는 사업을 하고 있으며, 약 12만 권의 독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국내 최대 독서 플랫폼 입니다. 전자책 외에도 오디오북과 챗북, 오디오 드라마 등 새로운 형태의 독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누적 회원 수는 약 550만명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로 '밀리의 서재'는 지니뮤직 자회사로 작년부터 IPO를 통해 상장을 준비해왔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IPO(기업공개) 간담회와 수요예측을 진행하며 상장 절차를 밟았지만 워낙 기업가치가 고평가된 상태였고, 플랫폼 사업에 대한 투자업계의 인식이 좋지 않아 흥행에 대..

도둑질 때문에 매장을 폐점하는 미국의 대형마트들

타깃 코퍼레이션은 미국의 대표적인 할인점입니다. 서민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대형마트라서, 월마트와 경쟁관계에 있으며 이를 대변하듯 미국 전역에 퍼져 있는 대형 유통기업입니다. 특히 미국인들에게 타깃은 고급스럽고 깔끔한 분위기에서 쇼핑을 할 수 있기에 매력적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타깃의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4월 타깃의 1주당 주가는 160달러였습니다. 하지만 현재 타깃의 1주당 주가는 109달러입니다. 5개월 동안 약 50달러가 빠진 것입니다. 경기 부진으로 인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함에 주가가 떨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정작 주가가 빠지는 문제는 따로 있습니다. 타깃 코퍼레이션은 미국의 대표적인 할인점입니다. 서민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대형마트라서, 월마트와 경쟁관계..

공매빔을 정통으로 맞은 알테오젠

국내 바이오 기업인 알테오젠이 최근 큰 관심을 받으면서 주가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알테오젠은 지난 10일부터 보름 동안 강세를 보였는데, 주가를 이끈 재료는 미국 대형 제약사인 머크가 항암제 키트루다의 피하주사(SC)제를 알테오젠의 기술로 개발 중이라는 소식이 퍼지면서 입니다. 머크는 오는 2025년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목표로 임상 3상을 진행 중입니다. 그리고 머크는 2028년 특허가 만료되기 전까지 키트루다 SC를 선제적으로 출시해 현재 혈관주사(IV)가 중심인 시장을 SC로 재편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참고로 머크는 알테오젠과 비독점 계약 상태인데, 만약 알테오젠이 타사에 키트루다 SC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기술을 이전할 경우 머크는 매출에 큰 타격을 받게 됩니..

킹달러의 귀환, 고공행진하는 환율

불과 몇 달 전 하락세를 보이던 달러가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달러가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연준이 통화 긴축을 장기화할 것이라는 엄포를 내놓았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유럽의 경기부진과 중국의 경제 성장세가 목표치에 미달할 것이라는 전망에 달러화의 상대적인 가치가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달러의 패권 상승 기조가 장기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즉, 지금도 연중 최고점까지 올라와 있지만, 아직도 상승하거나 강세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는 겁니다. 한편, 달러의 가치가 상승하는 것은 우리나라뿐만 아닙니다. 미국 뉴욕외환시장에서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지수화한 달러인덱스는 장중 106.10까지 치솟았는데, 이는 지난해 11월 이후 10개월여 만의 최고치입니다. 즉, 세계에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