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20

아메바 경영 뜻과 개념

아메바 경영은 일본의 3대 기업인으로 불리는 이나모리 가즈오 교세라 그룹 명예회장이 만든 경영 기법 입니다. ​ 끝없이 분열하는 아메바처럼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도 있고 합쳐질 수도 있으며, 경영자의 리더십 역시 아메바처럼 유연성이 요구된다는 뜻에서 아메바 경영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 아메바 경영은 경영에 대해 최고경영자(CEO) 뿐만이 아니라, 사원 모두가 함께 각자의 주특기를 활용하여 유연성을 발휘해야 하는 것이 중점이 되는 내용입니다. ​ 조직을 5~10명으로 세분화시켜, 아메바 조직의 매출과 이익 그리고 경비를 집계하여 모든 사원에게 공개하고 어떻게 수익을 창출하고 기여도를 파악함으로써 선의의 경쟁과 의욕, 책임감을 갖게 하면서 모든 구성원들이 경영에 참여할 수 있게 만드는 것입니다. ​ 아메..

캐피털게인(Capital gain) 뜻

캐피털게인(Capital gain)은 자본이득(資本利得)이라고도 부르는데, 자본이득은 보유 기간 동안 가치가 증가한 자산의 판매로 얻은 이익(차익)을 말합니다. ​ 즉 토지, 채권, 주식, 귀금속 같은 유형자산, 무형자산의 가격이 구매할 때보다 판매할 때 더 클 경우 성립됩니다. ​ 캐피털게인을 이용하여 부동산과 주식을 막대하게 사들여 경제행위를 영위한다면 이는 투기에 가깝습니다. ​ 또한, 캐피털게인에 대한 차액에 대하여 과세하는 것을 양도소득세라 하고 토지에 대해서는 토지 증여세, Capital Gain과세라고 합니다. ​ 유가증권의 가격 상승에 따른 수익을 캐피털게인(capital gain)이라고 한다면, 이자나 배당에 따른 소득은 인컴 게인(income gain)이라고 합니다. ​ 쉽게 말해, 주..

B2E(Business to Employee)뜻 용어정리

B2E(Business to Employee)는 기업과 직원 사이의 전자상거래를 의미하며 비즈니스의 초점을 소비자 또는 기업이 아닌, 종업원에게 맞추는 것입니다. ​ 기업들은 유능한 인재와 직원을 찾아 발굴하여 그들에게 필요한 사내 복지, 무상교육, 근무시간 탄력 운영제, 보너스 등과 같은 복지 비즈니스를 제공합니다. ​ 이런 경쟁적 시장 속에서 유능한 직원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그들을 계속 고용하는 것이 B2E의 핵심입니다. ​ 이 용어는 조직 내의 모든 사람들을 위해 특화되어 있는 홈페이지, 즉 인트라넷(인터넷 관련 기술과 통신규약을 이용하여 조직 내부 업무를 통합하는 정보시스템)을 가리키는 하지만 초점이 종업원들의 욕구나 희망사항에 맞추어져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 인트라넷은 조직을 중심으로 하지만..

티끌모아 태산, 카페라떼 효과(Caffe Latte Effect)란?

카페라떼 효과(Caffe Latte Effect)는 식사 후에 마시는 커피 한 잔의 값을 아끼면, 기대 이상의 재산을 축적할 수 있다는 뜻의 용어입니다. ​ 즉, 티끌 모아 태산 또는 소액 저축의 중요성을 알리는 것입니다. ​ 해당 용어는 미국의 재정 전문가 데이비드 바흐가 무심코 하는 소액 지출을 줄이거나 다른 것으로 대체하여 장기적으로 저축하면 크게 돌아온다는 뜻으로 스타벅스 카페라떼를 예로 들면서 설명하여 사용되었습니다. ​ 매일 4.000원의 커피를 식사 후에 마시지 않고 저축한다면 한 달 동안 12만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꾸준히 30년간 커피를 소비하지 않고 저축을 지속하면 물가 상승률, 이자 등을 감안해 목돈을 약 2억 원의 자금을 마련할 수 있게 됩니다.

칵테일 위기(Cocktail of Risks) 뜻

칵테일 위기(Cocktail of Risks)는 수많은 술들이 혼합된 칵테일처럼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악재가 뒤섞여 발생하는 부정적인 상황을 말합니다. ​ 영국의 재무 장관인 조지 오스본이 2016년 신년 기자회견에서 세계 경제가 다양한 위기를 맞고 있다며 처음 사용했습니다. ​ 당시 국제 유가가 하락하고 신흥국 자금의 이탈, 유럽 연합이 붕괴되는 위기에 처하자 이러한 위험을 경고하기 위해 말하였습니다. ​ 그 이후 다양한 악재가 동시에 발생할 위험이 있다면 칵테일 위기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미국 증시의 발목을 붙잡는 7개의 리스크

최근 몇 개월 동안 미국 증시가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월가에서는 미국의 주식시장이 강제로 끌어내릴 리스크가 7개나 존재한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1.국채금리 가장 먼저 미국의 국채금리 입니다. 최근 미국의 국채금리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날 미국의 2년과 10년물 국채금리는 각각 5%, 4.3%를 돌파했습니다. 미국의 국채금리가 상승하는 이유는 인플레이션의 상승률이 부담으로 적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둘러싼 불확실성도 함께 늘어나는 것도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2.국제유가 두번째는 국제유가 상승입니다. 최근 러시아와 사우디는 감산 여장 조치로 국제 유가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게다가 오랫동안 미국과 오일동맹을 이어왔던 사우디가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보이면..

공무원에게 아이폰을 사용하지 말라는 중국

중국의 아이폰 사랑은 남다르기로 유명합니다. 미중관계가 악화일로를 걷는 와중에도 중국인들이 가장 가지고 싶은 제품에서 아이폰은 빠질 수 없는 아이템 중 하나였습니다. 오죽하면 미국을 뜨겁게 비판했던 전 외교부 대변인인 자오리젠 역시 아이폰을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2020년 당시 자오리젠은 "미국이 위챗을 금지한다면 우리도 애플 스마트폰을 쓰지 않을 수 있다"는 자신의 발언을 트위터에 게시하여, 트럼프가 중국의 '국민 앱'인 위챗의 사용을 금지한 데에 대한 반발했습니다. 그런데 트위터 게시물에 'Twitter for iPhone'이라는 표시가 뜨면서 중국의 못말리는 아이폰 사랑이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기조가 바뀌고 있는 모습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공무원들에..

소프트패치와 러프패치의 뜻

소프트패치(soft patch)는 경기가 회복되는 국면에서 일시적인 후퇴 또는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말합니다. ​ 2002년 당시 미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었던 앨런 그린스펀(Alan Greenspan)이 상하원 합동 경제 위원회에서 처음 사용했으며, 골프장에서 잔디가 잘 자라지 않아 공을 치기 어려운 지점을 일컫는 ‘라지 패치(Large patch)’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앨러 그린스펀 전 의장은 당시 미국 경제가 다소 불안하고 취약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심각한 위기에 빠진 것은 아니라는 의미로 소프트패치를 지칭한 것입니다. ​ 즉, 경기 또는 경제가 라지 패치에 빠진 골프공처럼 어렵지만 공을 치지 못할 정도는 아닌 것처럼 경기 회복 수준이 어렵지 않다는 뜻입니다. ​ 소프트패치보다 경..

황금낙하산(Golden Parachute)이란?

황금낙하산(Golden Parachute)은 1980년대에 기업 다각화 전략의 일환으로 활발하게 전개된 M&A와 관련하여 미국 월가에서 유래된 말로 비싼 낙하산이라는 뜻에서 생긴 용어이고 적대적 M&A(Merger and Acquisitions,인수합병)를 방어하는 대표적인 전략 중 하나입니다. ​ 피인수 기업의 대표(최고경영자·CEO)가 인수합병이 되기 전, 임기 전에 사임하게 될 경우를 대비하여 거액의 퇴직금, 저가에 의한 주식 매입권(스톡옵션), 일정 기간 동안의 보수와 보너스 등을 받을 권리를 사전에 고용계약에 기재하여 기존 경영진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기업의 인수 비용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 즉, 황금낙하산은 적대적 인수합병(M&A)을 어렵게 만드는 경영권 보호 기법 입니다. ​ 하지만 ..

레임덕(lame duck) 뜻, 용어 정리

레임덕(lame duck)은 임기 만료를 앞둔 공직자를 절뚝거리는 오리에 비유하여 쓰였습니다. ​ 레임덕 용어의 유래는 18세기 런던 증권시장에서 시작됐는데, 당시 이 말은 빚을 갚지 못해 시장에서 제명된 증권 거래원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고 19세기 미국 남북전쟁 때, 재선에 실패한 현직 대통령이 남은 임기 동안 마치 뒤뚱거리며 걷는 오리처럼 정책집행에 일관성이 없다는 데서 사용되었습니다. ​ 하지만 레임덕이라는 용어가 등장한 기록들을 보면 1761년 영국의 소설가 호레이스 월폴(Horeace Walpole)이 호레이스 맨(Horeace Mann) 경에게 보낸 편지에서 처음 등장했다고도 합니다. ​ 레임덕은 대통령을 배출한 집권당이 중간선거에서 다수 의석을 확보하지 못하여 대통령의 정책이 의회에서 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