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20

가젤형 기업(Gazelles Company) 뜻

가젤형 기업(Gazelles Company)은 매출액 또는 고용자 수가 3년 연속 평균 20% 이상 지속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 가젤형 기업이라는 용어는 1981년 미국 경제학자 데이비드 버치가 발표한 논문 중에서 특별히 성장이 빠른 기업을 지칭하면서 처음 사용됐습니다. ​ 영양류의 일종인 ‘가젤’은 빨리 달리면서 높은 점프력을 가진 동물인데, 기업 역시 빠르고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순고용 증가율이 높을 때 가젤형 기업이라고 칭합니다. ​ 가젤형 기업은 강소기업(강하고 작은 기업)을 뜻하는 ‘히든 챔피언’과 비슷하지만 차이가 존재합니다. ​ 히든 챔피언은 기업의 규모가 작아서 시중에 크게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독보적인 기술로 독점의 위치에 올라선 기업을 말합니다. ​ 히든 챔피언은 매..

스놉 효과(Snob effect)란?

스놉 효과(Snob effect)는 많은 사람들이 구입한다는 이유로 특정한 물품을 구입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 각자의 개성을 중시되는 현대에는 자신과 똑같은 패션을 보면 더 이상 입으려고 하지 않으며 특히, 명품 브랜드 소비에서 흔히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 이를 두고, ‘속물 효과’ 또는 ‘스놉 효과(snob effect)’ 그리고 마치 까마귀 떼 속에서 혼자 떨어져 고고하게 있는 백로의 모습과 같다고 해서 ‘백로 효과’라고 합니다. ​ 그리고 스놉 효과는 남을 따라 하는 소비 행태를 뜻하는 밴드웨건 효과(Bandwagon effect)와는 반대되는 내용으로 사용됩니다. 스놉효과는 1950년 하비 레이번슈타인(H. Leibenstein)이 경제학 잡지 《Quarterly Journal of Eco..

풍선효과(Balloon effect)

풍선효과(Balloon effect)는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면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예를 들어, A라는 동네에 도둑이 많아 물건이 자주 사라진다는 민원이 많아지면 A 동네에는 경찰이 늘어날 것입니다. ​ 하지만 B 동네의 배치된 경찰의 수가 적어짐을 느낀 도둑들은 B 동네로 옮겨가면서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 경제적 측면에서 풍선 효과(Balloon effect)는 정부가 공권력을 행사하더라도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기 힘들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중국의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은 사치와 향락 풍조를 방지하기 위해 관료들의 명품 수수를 단속하고 명품 구매를 억제하여 명품 소비를 감소시켰습니다. ​ 하지만 중국 내 명품 판매는 줄었지만 해외에서 명품을 구매하는..

매파(hawks)와 비둘기파(Doves)란?

매파(hawks)와 비둘기파(Doves)라는 용어는 1798년 미국의 토마스 제퍼슨(Thomas Jefferson) 대통령으로 유래되었지만, 베트남전쟁이 발발했던 1960년에 다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 베트남전쟁을 확대하여 강경하게 대응하자는 매파(보수강경파)와 전쟁을 확대시키지 않고 외교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자는 비둘기파(온건파)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 정치적인 관점에서 ‘매’파와 ‘비둘기’파는 보수와 진보의 성향을 뜻하지만, 경제적인 의미로는 물가안정을 위해 금리인상과 긴축정책을 주장하는 세력을 ‘매’파로 경제성장을 위해 금리인하와 양적완화를 주장하는 세력을 ‘비둘기’파로 나누어집니다. ​ 매파는 물가를 안정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다 보니 인플레이션에 민감합니다. ​ 따라서 인플레이션을 억제..

레몬마켓과 피치마켓 뜻과 용어 정리

레몬 마켓(Lemon Market)은 시고 맛없는 레몬이 많이 유통되는 시장을 말하며 1970년 조지 애컬로프(Akerloff)가 미국의 계량경제학 잡지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에서 레몬시장 이론(Market for Lemons) 논문을 발표하며 전해졌습니다. ​ 레몬은 먹음직스럽게 생겼지만 강한 신맛 때문에 먹지 못하는 과일로 인식되면서 경제적 용어로는 겉으로는 멀쩡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저품질의 상품들이 가득한 시장을 뜻합니다. ​ 레몬 마켓에서 판매자는 상품의 품질을 정확히 알고 있지만, 구매자는 상품을 구매하기 전까지 상품의 품질 상태를 파악할 수 없습니다. ​ 즉,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합니다. ​ 따라서 구매자들은 상품의 품질이 좋은 것을 싸게 사기 위해 찾아..

잔물결 효과(ripple effect) 용어 정리

잔물결 효과(ripple effect)는 고요한 호수에 물방울을 떨어뜨리면 그 지점에서부터 파동이 확산되어 가장자리까지 파동의 영향이 미치게 되는 것처럼 부정적인 효과가 점차 확산되어 그 영향이 커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 예를 들면, 한 국가의 경기 침체는 다른 국가로까지 확산되면서 결국에는 연쇄적으로 확산되어 전 세계 국가들에게 파급력을 미치게 되는 것을 잔물결 효과에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소프트 잡(Soft job)이란?

소프트 잡(Soft job)은 진입장벽이 낮고 고용 창출 효과가 높은 서비스업 직종을 말하며 학력, 나이, 인종의 차별에 구애받지 않으며 출산, 육아로 경력 단절을 겪은 여성 또는 노인층 등이 보다 수월하게 진입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이점이자 특징입니다. ​ 최근 소프트 잡(Soft job)은 진입장벽이 낮은 만큼 질이 낮은 일자리로 폄하되기도 했지만 아르바이트생으로 시작하여 전문성을 인정받아 본사의 정직원으로 채용되는 일이 발생하면서 편파적인 시각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제조업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던 서비스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국내 산업별 취업자 수에서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70%에 달하며 제조업의 비중은 17%로 서비스업이 4배 이상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습니다. ​ 프랑스, 일본 등의 국가..

마이크로크레디트(micro credit) 뜻

마이크로크레디트은 기존의 금융기관과는 거래하기가 힘든 저신용,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무담보 소액대출을 의미합니다. ​ 금융기관은 보통 대출을 통해 이익을 거두게 됩니다. ​ 하지만 마이크로크레디트은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창업 자금 보증 또는 담보 없이 대출해 주는 것이 목적이기에 대출로 수익을 얻기보다는 사회에 이익을 환원하는 성격이 강합니다. ​ 마이크로크레디트은 1976년 방글라데시 그라민 은행 총재인 무함마드 유누스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 당시 방글라데시의 저소득층은 금융기관을 통해 돈을 빌릴 수 없었기에 사채업자에게 돈을 빌려서 부채를 돌려 막았습니다. ​ 하지만 사채의 대가는 상상을 초월했습니다. ​ 사채를 사용할 경우 지급해야 할 이자는 50%~70%에 달했으며 90%이상을 넘는 경우도 많..

점점 현실화되고 있는 국민연금 고갈

국민연금은 노후를 위한 대비책으로 손꼽힙니다. 하지만 빠르게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출산율이 크게 줄어들면서 국민연금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일단 국민연금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국민 개개인이 소득 활동을 할 때 납부한 보험료를 기반으로 하여 나이가 들거나, 갑작스런 사고나 질병으로 사망 또는 장애를 입어 소득활동이 중단된 경우 본인이나 유족에게 연금을 지급함으로써 기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금제도를 말합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 1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통계청의 데이터로 한국과 주요 5개국의 고령화 실태와 연금제도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의견을 냈습니다. 현재의 국민연금 체계(보험료율 9%, 소득대체율 40%)를 ..

차세대 먹거리로 분류되는 K-웹툰과 웹소설

최근 글로벌 헤지펀드를 비롯해 국내외 투자자들이 차세대 투자 먹거리로 한국의 웹툰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약 6억 달러(약 7752억 원) 상당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는 헤지펀드 GVA자산운용은 우리나라 비상장 웹툰 제작사 케나즈에 1500만 달러를 투자해 최대주주에 올랐습니다. GVA자산운용의 성과는 생각보다 좋습니다. 올해 코스피지수가 18% 하락하는 동안 GVA자산운용의 주력 펀드 손실률은 4%로 선방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웹툰 시장의 황금기는 찾아오지 않았고 곧 몇 년 이내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현재 웹툰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지난해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웹툰 매출은 2017년 3억달러(약 3900억원) 미만에서..

반응형